재귀호출만 생각하면 신이 난다!(...)
DP 메모이제이션 익히기 좋은 문제라고 한다...네..
문제에서 기저 사례(base case : 문제를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조건. 기저사례에 도달하면 return.)와
점화식까지 모두 주었다!
그래서 그대로 구현만 하면 되는 문제이다.
윗쪽 if문을 보면 0<a,b,c<=20의 값으로 조정되므로 배열의 크기는 21로 잡아주었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|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arr[21][21][21];
int dp(int a, int b, int c) {
if (a <= 0 || b <= 0 || c <= 0) return 1;
if (a > 20 || b > 20 || c > 20) return dp(20, 20, 20);
if (arr[a][b][c]) { // 저장되어 있는 값이 0이 아니면(계산 했으면) 두번 계산할 필요 없으므로 return.
return arr[a][b][c];
}
if (a < b && b < c) {
return arr[a][b][c] = dp(a, b, c - 1) + dp(a, b - 1, c - 1) - dp(a, b - 1, c);
}
else {
return arr[a][b][c] = dp(a - 1, b, c) + dp(a - 1, b - 1, c) + dp(a - 1, b, c - 1) - dp(a - 1, b - 1, c - 1);
}
}
int main(void) {
cin.tie(NULL);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int a, b, c;
while (1) {
cin >> a >> b >> c;
if (a == -1 && b == -1 && c == -1)
break;
cin >> a >> b >> c;
cout << "w(" << a << ", " << b << ", " << c << ")" << " = " << dp(a, b, c) << '\n';
}
return 0;
}
|
cs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