접근 속도는 빠르지만 기억 공간이 많이 요구됨. 다른 방식에 비해 검색속도 빠름. 삽입 삭제 작업 빈도가 많을 때 유리. 대부분 탐색방법들은 탐색키를 저장된 키 값과 반복적으로 비교하여 탐색하고자하는 항목에 접근하지만, 해싱은 키 값에 산술적 연산을 적용해 해당 항목이 저장되어있는 테이블의 주소를 계산하여 접근한다. : 자료를 꺼내기 위해 전체 배열을 탐색하지 않음. *키 값의 연산에 의해 직접 접근이 가능한 구조 : 해시테이블 *해시테이블을 이용한 탐색 : 해싱 키들의 비교에 의한 탐색은 정렬이 안되어있으면 O(n), 정렬되어있으면 O(logn₂ N). 보통 사전과 같은 자료구조를 구현할 때 최상의 선택이 됨. 사전 구조(dictionary)는 맵이나 테이블로 불리기도 한다. 탐색 키/키와 관련된 값으..